고혈압 치료 약 평생 먹어야 할까요?

고혈압 치료제 평생 먹어야 할까요?

국내 통계에 따르면 만 30세 이상 인구의 약 30%, 즉 10명 중 3명은 고혈압 환자입니다.

65세 이상에서는 65.2%의 유병률을 보입니다.

이렇게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은 특별한 증상 없이 발병하는 경우가 많고 소리 없이 합병증을 유발하여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기도 합니다.

고혈압

혈압은 심장에서 전신으로 혈액을 보내기 위해 혈관 벽에 가하는 힘을 말합니다.

사람의 정상 혈압은 수축기 120, 이완기 80입니다.

원활한 혈액순환을 위해서 일정한 압력이 필요한데 심장이 더 뛰거나 혈관이 좁아지면 피의 압력이 높아지는 고혈압이 발생합니다.

18세 이상 성인 기준 수축기 140 이상이거나 이완기 80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합니다.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으면 합병증으로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협심증, 심근경색의 약 60%, 뇌졸중의 90%는 고혈압에 의해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혈압을 조절해서 이런 질환들을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 고혈압이 발생하나요?고혈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먼저 특정 질환 없이 나이, 체중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고혈압을 본태성(일차성) 고혈압이라고 하며 전체의 90%가 해당합니다.

나머지 10%의 환자는 한 가지 특정 원인에 의해 야기되는 2차성 고혈압에 해당합니다.

심한 코골이와 부신 기능 항진, 신장 기능 저하 등이 이차성 고혈압의 주요 원인입니다.

이 밖에 고혈압과 관련된 위험인자로 가족력, 음주, 흡연, 고령, 운동부족, 비만, 짜게 먹는 식습관이 있습니다.

고혈압 증상이 있나요?보통 고혈압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몇 가지 합병증을 일으킵니다.

특히 고혈압이 지속되면 심장, 혈관 부하가 심해져 심뇌혈관 질환이나 사망 위험이 증가합니다.

이 밖에 요독증, 만성콩팥병, 시력저하 등 다양한 합병증이 유발됩니다.

고혈압 치료

고혈압 치료의 일차적인 목표는 혈압을 조절하여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과 사망률을 낮추는 데 있습니다.

만약 당뇨병이나 신장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보다 철저한 관리로 수치를 조절합니다.

고혈압 치료는 하나의 약제 사용으로 생기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둘 이상의 약제로 보완하는 약물 병합 치료가 보편적입니다.

이 밖에 체중을 5kg 이상 감량하거나 염분 섭취를 절반으로 줄이면 혈압 약 1알 분량의 혈압 조절 능력을 가지며, 꾸준히 생활 관리를 하면 약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고혈압 약 평생 먹어야 한다?고혈압 약제를 복용하는 목표 혈압을 유지하면 약을 멈출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재발할 가능성이 높고 약제를 끊은 환자의 70%는 고혈압이 다시 일어난다고 합니다.

하지만 평소 체중 감량과 규칙적인 운동, 염분 섭취량 감소에 주의하면 약물 효과를 극대화하고 결국 약 복용량 감소 및 중단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입니다.

고혈압 약 평생 먹어야 한다?고혈압 약제를 복용하는 목표 혈압을 유지하면 약을 멈출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재발할 가능성이 높고 약제를 끊은 환자의 70%는 고혈압이 다시 일어난다고 합니다.

하지만 평소 체중 감량과 규칙적인 운동, 염분 섭취량 감소에 주의하면 약물 효과를 극대화하고 결국 약 복용량 감소 및 중단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