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잭입니다 ^^ 오늘은 인덕션 vs. 하이브리드 소음, 전기세, 화력, 가격비교 2편 전기세, 인덕션 장단점 화력 이어가보겠습니다.
에너지 소비 효율
전기레인지는 아직 등급기준이 없는지 에너지소비효율에 등급도 없고 실제로 제품을 받아보니 연간 437,000가 든다고 적혀있어서 깜짝 놀랐어요 이러면 배보다 배꼽 아닌가요?그런데 177Wh/kg이면 소비자원 브랜드 조사표에서 최상위 효율이라 뭐가 뭔지 모르겠더라고요?!
에너지 비용
그런데 조사해 보니까 에너지 비용이라는 게 하루에 8시간 사용을 기준으로 하는 거래요 그리고 3구 다 붙인 최대치를 기준으로 하는 거죠?저희 기준으로는 하루에 한시간 쓸 일이 없기 때문에 두세개 동시 사용할 때를 감안하여 하루에 한시간 한구 사용기준으로 하면 나와있는 금액보다 1/8*1/3=1/24이기 때문에 연간 \18,200,월간 \1,500정도입니다 에어컨도 없으니 누진세도 없습니다 최대치
삼시세끼 꼬박꼬박 써도 4,500/월이고 효율이 낮은 브랜드의 제품이든 누진세를 적용해도 1만원 안팎일 것 같습니다.
전기세가 많이 들까봐 은근히 걱정했는데 한숨 돌렸어요 소비전력
가정용 소비전력 제한으로 인해 3구 모두 최대전력이 3500W입니다 3구 동시 사용시 3구 동시에 최대출력을 내면 3,500W를 초과하게 되므로 3구 동시에 최대출력할 수 없으며 가장 강한 것부터 순차적으로 낮아집니다.
인덕션의 장점
인덕션은 조리시간이 짧고 에너지가 가장 적게 듭니다.
가스 연소시 나오는 유해가스가 없어서 건강에도 좋고 덥거나 냄새를 빼야 하기 때문에 문을 열어야 하는데 불에 바람이 불어서 문을 못 여는 일은 없어집니다 이건 하이라이트도 마찬가지지만 인덕션은 선풍기를 틀어도 돼요.하이라이트는 선풍기 상판이 조금이라도 식지 않을까요?여름에 가스불 앞에 서면 더워 죽겠는데, 이것은 정말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인덕션 및 기타 장점과 단점
아직 사용하지 않은 기능이지만 타이머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은 상당히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만드는 시간에 정해진 요리가 많기 때문에 뭐, 휴대폰 타이머를 사용해도 되지만요. ㅎㅎ 가열 초기의 약간의 소음이 단점이라면 단점이라기보다는 전기세가 많이 나오는 것이 단점이 아닐까 생각했던 것이 저 같은 경우는 오히려 더 적어질 것 같습니까?
전기세 관련 정확한 비교 데이터는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여러 데이터가 있는데, 좀 천차만별이네요 나름 상식선에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화력
화력에 대해서는 오해가 있는 것 같습니다만, 왠지 직화가 화력이 강한 것 같습니다만, 그렇지 않습니다.
가스도 작은불, 중불, 센불의 크기 조절에 달려있듯이 인덕션과 하이라이트도 온도설정에 달려있습니다 조리시간
다만 조리 시간에 차이가 있는 것은 인덕션은 용기 자체의 발열 유도 방식이기 때문에 용기만 데우면 되기 때문에 설정 온도가 가장 빨라서 조리 시간이 확 줄어드는 거예요.하이라이트는 열선이 먼저 발열해 세라믹 바닥판을 가열한 뒤 상판을 통해 조리용기가 가열되는 과정에서 가열 대상이 열선과 상판의 2단계 늘어나기 때문에 조리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죠.가스는 상판을 데우지 않고 조리용기 직화이기 때문에 열전달 과정이 하나 줄어들게 되어 하이라이트보다 빠르지만 열효율이 낮아 큰 차이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러면 이상으로 가스레인지 vs. 인덕션vs.하이브리드소음,전기세,화력,가격비교2편전기세,인덕션장단점,화력을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면 이상으로 가스레인지 vs. 인덕션vs.하이브리드소음,전기세,화력,가격비교2편전기세,인덕션장단점,화력을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