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호돌이입니다.
섹터별 점검을 진행하고 있고, 문득 오랜만에 화장품 섹터에 대한 생각을 돋웁니다.
오랫동안 돈을 벌 수 있지 않고 시장에서 소외되는 섹터는 투자가에게 지속적으로 외면당하는 동안 주가는 점차 프리미엄이 소멸하고 역사적인 저점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그러나 기업이 도산하지 않으면, 그리고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면 이런 하락이 할수록 값은 오히려 커지는 경우가 한두번 다시 목격됩니다.
이처럼 소외된 상황에서 기업에 뭔가 사소한 긍정적인 변화가 일기, 이익의 반등을 준비하게 되면 시장에서 재평가도 다시 크게 일어날 수 있는 거예요.지난 몇년간 지속적인 실적 오히려 성장에 따른 시장으로부터 철저히 소외된 업종으로 단연 화장품을 드립니다(전력 업종도 있지만 한국 전력이 좀….).화장품 섹터가 앉기 시작한지 어느덧 5년이 지났습니다.
이제 슬슬 끝날 것 같은데, 이제 좋아진다는 목소리가 몇번 들렸는데도 정작 오히려 성장이 정말 끝이 없는 것 같습니다.
현 시점에서도 여전히 부정적인 얘기가 많이 들리는 것 같습니다.
가장 마지막으로 화장품 섹터에 대한 코멘트도 어느새 2년 전의 게시물이 되어버렸네요.▼ 화장품 업종 이래저래 근황 https://blog.naver.com/hodolry/222033016568
화장품 업계의 이모저모 및 근황 화장품 업계는 어떻게 지내시나요? 안녕하세요 호돌이입니다.
화장품업계의 안부를 오랜만에 물어봤습니다.
blog.naver.com
그동안 오히려 성장이 너무 착실하이어서 시장에서 투자자의 신뢰를 잃은 것은 물론 화장품 주 개별 기업에 대한 뉴스도 거의 없는 경우에도 직면하는 것 같아요.그러나 이익 수준이 크게 떨어진 기업이라면 새로운 매 출처의 확대 등 작은 변화만 실적은 크게 달라질 수 있을까요.그래서 오랫동안 소외된 섹터일수록 가끔 이슈 확인 정도만 해놓고도 예상하지 않는 성과가 나올 거에요.화장품 섹터라고 하면 중국이 필수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화장품 기업에 관한 글이나 기사를 보면 온통 중국과 면세 채널의 얘기가 주입니다.
안타깝지만 이는 화장품의 섹터를 정확히 직시할 수 없는 뷰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국내 수 많은 산업에서 중국만 믿고 업종이 크게 다친 사례는 이미 수없이 많이 나왔으며 앞으로도 더 그렇게 되면 확신하는 입장입니다.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에 장비를 상인들도 중국의 건설 시장에 건설 장비를 상인들도 중국의 내재화 리스크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는 말을 자주 하는 이유도 여기 있습니다.
제발 화장품 기업도 또 중국만 바라보며 중국 사업에만 집중하고, 중국의 자율 경쟁력 상승으로 골에 들어간 경우에 됩니다.
산업 구조가 비슷한 한 나라에 전사적 자원을 집중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가를 스스로 내놓았습니다.
2015년까지는 중국 화장품 산업의 성장, 중국인의 한국 방문 등이 화장품 기업을 분석하는 데 가장 중요한 변수였지만 지금은 중저가 화장품 제조 기술력과 화장품 유행은 오히려 중국이 한국을 훨씬 앞서고가 화장품까지도 국내 기업의 경쟁력이 점점 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중국이라는 변수는 점차 기업의 실적과 상관 관계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중국의 대형 화장품 기업조차 중국의 화장품 산업의 성장과 동행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중국의 소비 회복이 화장품의 주가 상승을 의미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은 화장품 기업 투자가에 있어서도 중요한 이야기겠지만 화장품 기업에 있어서도 중요한 얘기죠.이런 이유로 눈치가 화장품 기업은 점차 탈 중국으로 향하고 시장 개척에 주력할 수밖에 없겠지만, 때때로 관련 소식이 들려오는 모습입니다.
최근 아모레 퍼시픽이 미국의 프리미엄 화장품 브랜드를 인수한 배경도 중국에서 수없이 받은 뒤 마침내 교훈을 깨닫는 주력 시장의 다양화를 추진하기 때문이겠죠.아모레 퍼시픽은 중국 소비 시장의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지 못하면서 중국 내의 중저가 로드 숍다는 쓸데없는 완고함과 경직된 기업 문화 등으로 6년 이상 오히려 성장을 경험해야 했어요.중국에 쓰는 돈으로 M&A에 나왔으면 어땠는지 안타깝지만 이제라도 달라진 모습이 나타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아모레 퍼시픽은 이들 서양 브랜드의 아시아 유통도 확대되어 가는데요, 향후 미국 유통망 개척에도 주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다시 새로 사들인 브랜드를 중국에 파는 데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면 매우 실망할 것입니다.
▼ 2022.09.01<아모레 퍼시픽, 미국의 럭셔리 화장품”타타하ー파ー”인수>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398028?sid=101
아모레퍼시픽, 미국 럭셔리 화장품 ‘타타하퍼’ 인수 아모레퍼시픽이 미국 럭셔리 클린뷰티 브랜드 ‘타타하퍼(Tata Harper)’를 인수한다.
아모레퍼시픽은 1일 공시를 통해 타타하퍼 브랜드 운영사인 ‘타타즈 내추럴 알케 n.news.naver.com ‘.
아모레퍼시픽, 미국 럭셔리 화장품 ‘타타하퍼’ 인수 아모레퍼시픽이 미국 럭셔리 클린뷰티 브랜드 ‘타타하퍼(Tata Harper)’를 인수한다.
아모레퍼시픽은 1일 공시를 통해 타타하퍼 브랜드 운영사인 ‘타타즈 내추럴 알케 n.news.naver.com ‘.● 현명한 반도체 투자, 반도체 투자를 완벽하게 분석!
반도체 산업의 이론적인 디테일을 반도체 소재·설계·장비 투자와 연결된 유일무이한 책. 광범위한 반도체 산업의 이론적인 디테일을 쉽게 풀고 반도체 소재·설계·장비 분야의 투자까지 연결하도록 지원하는 유일무이한 책”현명한 반도체 투자”이 출판됐다.
전기 전자 공학을 전공하고 10년이 넘는 세월 산업의 구별 없이 200개 이상의 기업 보텀업 및 톱 다운 분석을 착실히 진행하고 온 저자는 “문과생도 이해하는 첨단 산업”시리즈 강연을 통해서 굳힌 내공을 아낌없이 이 책에 쏟았다.
공학도로 반도체 산업에 대해서···book.naver.com●현명한 반도체 투자, 반도체 투자 완벽 분석!
반도체 산업의 이론적 디테일을 반도체 소재·설계·장비 투자와 연결한 유일무이한 책!
광범위한 반도체 산업의 이론적 디테일을 쉽게 풀어내고 반도체 소재·설계·장비 분야의 투자까지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유일무이한 책 ‘현명한 반도체 투자’가 출간됐다.
전기전자공학을 전공한 지 1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산업 구분 없이 200개 이상의 기업에 대해 상향식과 하향식 분석을 꾸준히 진행해온 저자는 ‘문과생도 이해하는 첨단산업’ 시리즈 강연을 통해 다져진 내공을 아낌없이 이 책에 쏟아부었다.
공학도로서 반도체 산업에 대해서… book.naver.com※버튼이 밀리지 않는 경우:http://section.blog.naver.com/connect/PopConnectBuddyAddForm.nhn?blogId=hodolryPS.이 포스팅을 축약/요약하며 다시 작성하지 마세요.YouTuber들 사본도 엄금입니다.
무단 스크랩, 카페/단체/기관의 확산은 절대 엄금이다, 출전하지 않는 표기, 내용에 포함된 자료의 사용도 절대 금지입니다.
본 포스팅은 특정 시점에서 투자 참고 자료를 바탕으로 주관이 개입하고 기술된 내용에서-특정 종목에 대한 인수 및 매각 추천은 아닙니다.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된 것을 확인합니다.
-기업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가 아님을 밝힙니다.
-단순한 참고용으로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어 어떤 경우에도 본 자료는 주식 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소재의 증거 자료로 사용할 수 없음을 밝힙니다.
-향후 주가 움직임은 내용과 무관할 수 있음을 밝힙니다.